나도 이제 내 서버 한 번 돌려보자 – 클라우드 요금에 지쳐 시작한 홈서버 라이프
솔직히 말하자. 처음부터 내가 무슨 개발자처럼 서버를 운영하고, 도커를 쓰고, 리눅스를 돌리고, 워드프레스를 직접 설치하려던 건 아니었다.
그저… 클라우드 요금이 너무 비쌌다.
💸 이렇게까지 비쌀 일인가요? – 클라우드 요금의 현실
처음에는 단순했다. 글 몇 개 쓰고 사진 몇 장 올리는 나만의 블로그를 하나 운영해보고 싶었다. ‘네이버 블로그 말고, 진짜 내 플랫폼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’를 말이다.
그래서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알아봤다. 막상 비용을 보니, 별 거 안 하는데도 매달 7,000원, 트래픽 조금만 늘면 만 원 훌쩍. AWS나 Google Cloud는 더 말할 것도 없다.
“나 한 달에 커피 한두 잔 가격으로 블로그 하나 돌리는데 왜 이렇게 돈이 많이 들지?”
이런 생각이 들면서 자연스럽게 ‘홈서버’라는 단어를 마주하게 됐다.
💰 실제 비용 비교해보니… 충격적이었다
본격적으로 비용을 계산해봤다. 3년 동안 블로그 하나 운영한다고 가정하고 말이다.
클라우드 호스팅 비용 (2025년 기준)
| 서비스 | 월 비용 | 연간 비용 | 3년 총비용 |
|---|---|---|---|
| 카페24 웹호스팅 | 7,700원 | 92,400원 | 277,200원 |
| 가비아 클라우드 | 12,100원 | 145,200원 | 435,600원 |
| AWS Lightsail | 6,500원 ($5) | 78,000원 | 234,000원 |
| Vultr | 7,800원 ($6) | 93,600원 | 280,800원 |
여기에 트래픽 초과 비용, 스토리지 확장 비용은 별도다. 사진 많이 올리거나 방문자 늘면 추가 과금.
홈서버 실제 비용 계산
초기 투자:
- 중고 미니PC (4세대 i5, 8GB RAM, 256GB SSD): 150,000원
- 또는 라즈베리파이 4 (8GB) 세트: 110,000원
월간 운영 비용 (전기세):
일반 미니PC (실측 기준):
- 소비전력: 24시간 가동 시 약 30~40W
- 월간 전력량: 약 25kWh
- 전기요금 (가정용 평균 280원/kWh): 약 7,000~8,000원/월
라즈베리파이 4:
- 소비전력: 5W
- 월 전기세: 약 1,000원
3년 총 비용 비교:
| 항목 | 홈서버 (미니PC) | 클라우드 (평균) |
|---|---|---|
| 초기 비용 | 150,000원 | 0원 |
| 3년 전기세/요금 | 270,000원 (월 7,500원 × 36개월) | 320,000원 (월 평균 9,000원 × 36개월) |
| 총합 | 420,000원 | 320,000원 |
“어? 3년이면 클라우드가 더 싸네?”
맞다. 단순 비용만 보면 3년까지는 클라우드가 약간 저렴하다.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.
숨겨진 홈서버의 진짜 가치
- 트래픽 무제한 – 클라우드는 월 100GB 넘으면 추가 과금, 홈서버는 제한 없음
- 스토리지 자유 – 사진/동영상 많이 올려도 HDD만 추가하면 끝
- 여러 서비스 동시 운영 – 블로그 + 파일 서버 + 테스트 환경 동시에
- 5년 이상 사용 시 – 하드웨어 재사용 가능, 전기세만 내면 됨
- 학습 효과 – 리눅스, 도커, 네트워킹 실전 경험 (이건 돈으로 환산 불가)
내 경우는 블로그 운영 + 기술 배우기 + 장기 운영이 목표였기 때문에, 홈서버가 훨씬 합리적인 선택이었다.
🏠 내 방에서 서버 돌린다고? 그게 돼?
놀랍게도 가능하다. 더 놀라운 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자기 집에서 서버를 돌리고 있다는 것.
- 중고 PC 하나로도 시작할 수 있고
- 라즈베리파이 같은 저전력 장비도 많이 쓰이고
- 전기세도 생각보다 얼마 안 나온다 (실측해봤음)
클라우드에 매달 고정 비용을 내는 대신,
그냥 전기세 몇 천 원만 부담하고 평생 쓰는 내 서버.
이 매력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.
🖥️ 홈서버 하드웨어 – 뭘 사야 할까?
처음 시작할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이 바로 “어떤 장비를 살 것인가”다. 내가 조사하고 실제로 사용해본 결과를 정리하면:
💚 입문용 (10만원대) – 라즈베리파이
- 라즈베리파이 4 Model B (8GB)
- 가격: 약 85,000원 (케이스 + 전원 + SD카드 포함 시 11만원)
- 성능: 워드프레스 블로그 1개 운영 충분
- 전력: 5W (월 전기세 1,000원)
- 장점: 조용함, 작음, 귀여움(?)
- 단점: 확장성 제한, 무거운 작업 힘듦
추천 대상: 개인 블로그 1개만 운영, 전기세 최소화, 공간 제약
💙 실용형 (15만원대) – 중고 미니PC ⭐ 추천
- Dell Optiplex Micro / HP EliteDesk 미니
- CPU: 4세대 i5 또는 3세대 i7
- RAM: 8GB
- 저장공간: 256GB SSD
- 가격: 120,000~180,000원 (중고나라, 당근)
추천 모델:
- Dell Optiplex 3050 Micro (i5-7500T)
- HP EliteDesk 800 G2 Mini (i5-6500T)
- Lenovo ThinkCentre M93p Tiny
장점:
- 워드프레스 여러 개 + 도커 컨테이너 5~10개 동시 운영 가능
- RAM, SSD 나중에 업그레이드 가능
- 안정적인 성능
- 중고 시장에서 구하기 쉬움
추천 대상: 이게 가장 현실적임. 나도 이걸로 시작했음.
💜 프로급 (30만원 이상) – 최신 미니PC
- Intel NUC 11세대 / Beelink SEi12
- CPU: i5-1135G7 이상
- RAM: 16GB
- 저장공간: 512GB NVMe SSD
- 가격: 300,000~500,000원
추천 대상: 미디어 서버 + 웹서버 통합, 가상화 환경, 장기 운영
🛒 중고 구매 시 체크리스트
- ✅ CPU 세대: 3세대 이상 (2세대는 너무 느림)
- ✅ RAM: 최소 8GB (4GB는 부족함)
- ✅ SSD 탑재 여부 (HDD만 있으면 SSD 추가 필수)
- ✅ 랜 포트 정상 작동 확인
- ✅ 전원 어댑터 포함 여부
- ❌ 1~2세대 펜티엄/셀러론은 피하기
🐧 왜 리눅스? 윈도우는 안 되는 거야?
처음엔 당연히 이렇게 생각했다.
“윈도우로 하면 더 쉽지 않을까? 익숙한데.”
하지만 찾아보니, 서버 운영에 있어서 리눅스는 거의 표준이었다. 단순히 무료여서가 아니다.
- 가볍고, 빠르고
- GUI 없이 돌아가서 리소스도 적게 먹고
- 자동화, 보안, 유지보수 등 모든 면에서 서버에 최적화되어 있다
무엇보다… “개발자들이 리눅스를 쓰는 이유”
이걸 느껴보고 싶었다. 내가 리눅스를 잘 쓰게 되면… 왠지 좀 멋있어 보일 것 같기도 했고 말이지.
⚖️ 홈서버, 솔직하게 말하면…
장점만 있는 건 아니다. 시작하기 전에 알아야 할 현실적인 부분들도 있다.
홈서버의 명확한 장점 ✅
- 비용 절감 (장기적으로) – 3년 이상 사용 시 클라우드보다 저렴
- 완전한 통제권 – 내가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
- 학습 기회 – 리눅스, Docker, 네트워킹 실전 학습
- 확장 가능성 – 나중에 NAS, 미디어 서버 등 추가 가능
- 트래픽/용량 무제한 – 추가 비용 없음
홈서버의 솔직한 단점 ❌
- 초기 진입 장벽 – 리눅스 명령어 학습 필요, 처음 세팅 2~3일 소요
- 물리적 관리 – 정전 시 다운, 하드웨어 고장 직접 수리, 소음/발열
- 네트워크 설정 복잡 – 포트포워딩, DDNS 설정
- 보안 책임 – 방화벽, 업데이트 직접 관리
- 전기세 – 월 7,000~10,000원 고정 비용
이런 사람에게 추천 ✅
- 기술 학습에 관심 많은 사람
- 장기적으로 블로그/웹사이트 운영 계획
- 여러 서비스 실험해보고 싶은 사람
- 초기 시간 투자 가능한 사람
이런 사람에게 비추천 ❌
- 당장 안정적인 서비스 필요한 경우
- 기술적 트러블슈팅 자신 없는 경우
- 높은 트래픽 예상 (일 방문자 1만 이상)
- 비즈니스 용도의 중요한 서비스
👨💻 내가 홈서버 + 워드프레스를 선택한 진짜 이유
- 비용 절감 – 나만의 웹사이트를 운영하면서도, 월 요금 없이 전기세만 부담
- 기술 스택 확장 – 도커, 리눅스, 서버 구성, 네트워크 등 다양한 기술 체험
- 자기만의 플랫폼 구축 – 글을 쓰고, 기록을 남기고, 광고도 붙일 수 있는 공간
- 언젠간 개발자처럼 보이고 싶었던 로망 – 터미널을 치는 내 모습… 누가 봐도 “진짜 해커(?)” 같잖아
📌 앞으로 이 블로그에서 다룰 내용은?
이 시리즈는 나처럼 비전문가지만, 홈서버를 직접 운영해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여정이다. 내가 직접 해보면서 겪은 실수, 시행착오, 팁, 그리고 성공의 순간까지 전부 담을 예정이다.
예고편
- 리눅스 개념과 배포판 선택 가이드
- 우분투 서버 설치 – 스크린샷으로 따라하기
- 리눅스 명령어 20개 실전 사용법
- Docker로 나만의 서버 세팅
- 내 방에서 돌리는 워드프레스 블로그 구축기
- 도메인 연결, HTTPS 적용, 플러그인 설치까지
- 실제 운영비용 정산 – 1년 후기
- 애드센스 수익화 도전기
✋ 마지막으로
“재미로 시작했다가 진짜 운영하게 된다는 게 홈서버의 무서운 매력”
나도 지금 이 글을 내 홈서버에서 돌아가는 워드프레스에 직접 쓰고 있다. (곧 그렇게 될 예정이다!)
한 줄기 기술 욕심과, 쥐꼬리만한 실속 챙기기, 그리고 약간의 개발자 로망이 만든 이 여정.
앞으로의 기록이 누군가에게는 재미있는 도전의 시작이 되길 바란다.
✍️ 작성자 주:
이 시리즈는 비전문가 입장에서 설명하며, 실제 구성은 2025년 기준 최신 정보와 구성으로 진행됩니다. 한 편 한 편 따라오시면, 어느새 나만의 서버를 돌리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될 거예요.
댓글 남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