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분투 서버 설치 방법 – 홈서버용 OS 선택부터 설치까지 완벽 가이드
홈서버를 구축하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?
바로 운영체제(OS)를 설치하는 것이다.
서버용 OS에는 다양한 선택지가 있다.
CentOS, Debian, Arch Linux 등 많지만,
처음 시작하는 입문자에게는 단연 ‘우분투 서버’가 최고다.
💡 왜 우분투(Ubuntu) 서버인가?
우분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리눅스 배포판이다.
데스크탑 버전도 있지만, 홈서버에는 ‘우분투 서버’ 버전이 적합하다.
- 가볍다 – GUI 없이 텍스트 기반으로 작동하므로 리소스 소모가 적음
- 정보가 많다 – 검색하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될 정도로 자료가 풍부
- 패키지 관리가 쉬움 – APT 명령어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설치 간단
- 장비 호환성이 좋음 – 중고 PC, 라즈베리파이 등 대부분의 하드웨어에서 무난하게 작동
- 장기 지원 – LTS 버전은 5년간 보안 업데이트 제공
그럼 이제, 우분투 서버 설치를 위한 준비부터 차근차근 살펴보자.
💻 설치 전 하드웨어 최소/권장 사양
설치하기 전에 내 장비가 우분투 서버를 돌릴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.
우분투 서버 시스템 요구사항
| 구성요소 | 최소 사양 | 권장 사양 (워드프레스) | 이상적 사양 |
|---|---|---|---|
| CPU | 1GHz 이상 | 2GHz 듀얼코어 | 4코어 이상 |
| RAM | 1GB | 4GB | 8GB 이상 |
| 저장공간 | 10GB | 50GB SSD | 256GB SSD |
| 네트워크 | 유선 랜카드 | 기가비트 랜카드 | 듀얼 랜카드 |
💡 실전 조언:
- RAM 2GB 이하는 비추천 – 워드프레스 + Docker 돌리기 힘듦
- HDD보다 SSD 강력 추천 – 체감 속도 차이 엄청남
- 무선 랜카드는 설치 후 별도 설정 필요 – 처음엔 유선 필수
🛠️ 설치 준비물
필수 준비물
- 설치용 USB (8GB 이상) – 16GB 추천
- USB 부팅 툴
- Windows: Rufus (추천) 또는 balenaEtcher
- Mac: balenaEtcher 또는 터미널
- 우분투 서버 ISO 파일 – 약 1.4GB
- 설치 대상 장비 – 중고 PC, 미니PC, 노트북 등
- 유선 랜케이블 – 설치 중 인터넷 연결 필요
선택 사항
- 모니터 + 키보드 (설치 시에만 필요, 이후 SSH 접속)
- 외장 HDD (백업용)
📥 1단계: 우분투 서버 ISO 다운로드
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LTS 버전을 다운로드한다.
다운로드 링크:
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
버전 선택 가이드
| 버전 | 지원 기간 | 추천 대상 |
|---|---|---|
| Ubuntu 22.04 LTS | 2027년 4월까지 | ⭐ 가장 안정적, 강력 추천 |
| Ubuntu 24.04 LTS | 2029년 4월까지 | 최신 기능 원하는 경우 |
| Ubuntu 24.10 (비LTS) | 2025년 7월까지 | 테스트용, 비추천 |
💡 내 선택: Ubuntu 22.04.3 LTS
이유: 안정적이고 자료가 가장 많음
🔌 2단계: 부팅 USB 만들기
Windows에서 Rufus 사용 (가장 쉬움)
- Rufus 다운로드
- https://rufus.ie
- 설치 없이 실행 파일 바로 사용 가능
- USB 연결 – 8GB 이상 USB 메모리 꽂기
- Rufus 실행 후 설정
- 장치: USB 드라이브 선택
- 부팅 방식: MBR (대부분 호환) 또는 GPT (UEFI 전용)
- 파일 시스템: FAT32 (기본값)
- 선택 버튼 클릭 → 다운받은 ISO 파일 선택
- 시작 버튼 클릭 → USB 포맷 경고 확인 → 진행
- 완료까지 약 5~10분 소요
⚠️ 주의: USB 내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백업 필수!
부팅 방식 선택 팁
| 부팅 방식 | 설명 | 추천 대상 |
|---|---|---|
| GPT + UEFI | 최신 PC (2012년 이후) | 대부분의 경우 추천 |
| MBR + BIOS | 오래된 PC | 구형 하드웨어 |
💡 잘 모르겠으면: 둘 다 시도해보기 – 하나는 될 겁니다
💾 3단계: BIOS 진입 & USB 부팅 설정
부팅 USB가 준비됐다면, 이제 서버로 쓸 장비에 꽂고 BIOS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.
BIOS 진입 방법
- PC 전원을 켠다
- 화면에 로고가 뜨는 순간 키보드 연타 (제조사별 다름)
제조사 BIOS 진입 키 Dell F2 또는 F12 HP ESC 또는 F10 Lenovo F1 또는 F2 ASUS DEL 또는 F2 기타 F2, DEL, F10 중 하나
BIOS 설정 변경
- Boot 메뉴 찾기 – 화살표 키로 이동
- Boot Priority (부팅 순서) 변경
- USB 또는 Removable Device를 첫 번째 순서로 변경
- 보통 +/- 키 또는 F5/F6으로 순서 변경
- (선택) Secure Boot 비활성화
- Security 탭에서 Secure Boot 찾기
- Disabled로 변경 (일부 PC에서 필요)
- 설정 저장 후 재부팅
- 보통 F10 키로 저장
- Save and Exit 선택
💡 팁: 화면 하단에 단축키 설명이 나오니 참고하세요
🚀 4단계: 우분투 서버 설치 과정 (단계별 상세)
USB로 부팅하면 우분투 설치 화면이 나타난다.
텍스트 기반이라 낯설 수 있지만, 차근차근 따라하면 어렵지 않다.
설치 화면 단계별 가이드
Step 1. 언어 선택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Choose your language: │
│ > English │
│ 한국어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- English 선택 추천 (한글은 나중에 설정 가능)
- 이유: 에러 메시지 검색할 때 영어가 더 유리
- 방향키로 이동, Enter로 선택
Step 2. 키보드 레이아웃
Keyboard configuration
Layout: [English (US)]
Variant: [English (US)]
[Done] 선택
- 기본값 그대로 두고 Done
Step 3. 네트워크 설정 (중요!)
Network connections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enp0s3 eth │
│ DHCPv4 192.168.0.123/24 │
│ │
│ [Continue without network] │
│ [Done] │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- 유선 랜 연결 시: 자동으로 IP 할당됨 (DHCP)
- 192.168.x.x 형식으로 IP 보이면 정상
- 네트워크 안 잡히면: 랜선 재연결 후 진행
Step 4. 프록시 설정
Proxy address: [ ]
[Done]
- 비워두고 Done (대부분 필요 없음)
Step 5. 미러 서버 설정
Mirror address:
http://kr.archive.ubuntu.com/ubuntu
[Done]
- 기본 제공 주소 사용 (한국 미러 자동 선택됨)
Step 6. 디스크 파티션 설정 (중요!)
Storage configuration
(X) Use an entire disk
( ) Custom storage layout
AVAILABLE DEVICES:
> local disk 256GB
[Done]
- “Use an entire disk” 선택 추천 (자동 파티션)
- 고급 사용자만 Custom 선택
- 디스크 선택 후 Done
- 다음 화면에서 Confirm 한 번 더 (데이터 삭제 경고)
⚠️ 주의: 기존 데이터 모두 삭제됨! 백업 확인!
Step 7. 사용자 계정 설정 (매우 중요!)
Profile setup
Your name: [홍길동]
Your server's name: [homeserver]
Pick a username: [gildong]
Choose a password: [********]
Confirm password: [********]
[Done]
입력 가이드:
| 항목 | 입력 예시 | 주의사항 |
|---|---|---|
| Your name | 아무거나 (표시용) | 한글 가능 |
| Server name | homeserver | 영문 소문자 + 숫자만 |
| Username | gildong | 영문 소문자 추천, 기억하기 쉽게 |
| Password | 8자 이상 | ⭐ 반드시 기억할 것! |
💡 비밀번호 권장:
- 8자 이상
- 대소문자 + 숫자 혼합
- 특수문자 1개 이상
- 예시: Server2025!
Step 8. SSH 설정 (필수 체크!)
SSH Setup
[X] Install OpenSSH server
Import SSH identity: No
[Done]
- 반드시 “Install OpenSSH server” 체크!
- Space 키로 체크 (X 표시 확인)
- 이게 없으면 나중에 원격 접속 불가
Step 9. Featured Server Snaps (선택 패키지)
Featured Server Snaps
[ ] docker
[ ] microk8s
[ ] nextcloud
[Done]
- 전부 체크 안 하고 Done 추천
- 이유: 나중에 직접 설치하는 게 더 깔끔함
Step 10. 설치 진행
Installing system
[########### ] 45%
Downloading and installing packages...
- 설치 시간: 약 10~20분 (인터넷 속도에 따라 다름)
- 기다리는 동안 로그 확인 가능 (Enter 키)
Step 11. 설치 완료
Installation complete!
[ Reboot Now ]
Remove installation media and press ENTER
- “Reboot Now” 선택
- USB 제거 후 Enter
- 재부팅되면 우분투 서버 로그인 화면 등장!
✅ 5단계: 설치 후 첫 로그인 & 확인
재부팅 후 검은 화면에 텍스트가 주르륵 나오고, 로그인 프롬프트가 표시된다.
Ubuntu 22.04.3 LTS homeserver tty1
homeserver login: _
첫 로그인
- 앞서 설정한 username 입력 (예: gildong)
- Enter
- password 입력 (화면에 안 보임, 정상)
- Enter
로그인 성공하면 이런 화면이 보인다:
Welcome to Ubuntu 22.04.3 LTS (GNU/Linux 5.15.0-88-generic x86_64)
* Documentation: https://help.ubuntu.com
* Management: https://landscape.canonical.com
* Support: https://ubuntu.com/advantage
gildong@homeserver:~$ _
축하한다! 우분투 서버 설치 완료!
시스템 상태 확인 명령어
정상적으로 설치됐는지 확인해보자:
# OS 버전 확인
lsb_release -a
# 커널 버전 확인
uname -a
# 디스크 용량 확인
df -h
# 메모리 확인
free -h
# 네트워크 확인
ip addr show
예상 출력:
gildong@homeserver:~$ lsb_release -a
No LSB modules are available.
Distributor ID: Ubuntu
Description: Ubuntu 22.04.3 LTS
Release: 22.04
Codename: jammy
🛠️ 6단계: 설치 후 필수 초기 설정
설치는 끝났지만,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전에 몇 가지 설정이 더 필요하다.
1. 시스템 업데이트 (최우선!)
#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
sudo apt update
#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
sudo apt upgrade -y
# 재부팅
sudo reboot
업데이트 시간: 약 5~15분
2. 시간대 설정 (한국 시간)
# 현재 시간대 확인
timedatectl
# 한국 시간대로 변경
sudo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# 확인
date
3. 방화벽 기본 설정
# SSH 포트 허용
sudo ufw allow ssh
# 방화벽 활성화
sudo ufw enable
# 상태 확인
sudo ufw status
4. 고정 IP 설정 (권장)
DHCP는 IP가 바뀔 수 있어서, 서버는 고정 IP 권장
# 현재 IP 및 게이트웨이 확인
ip addr show
ip route show
# Netplan 설정 파일 편집
sudo nano /etc/netplan/00-installer-config.yaml
파일 내용 예시:
network:
version: 2
ethernets:
enp0s3: #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(ip addr로 확인)
dhcp4: no
addresses:
- 192.168.0.100/24 # 원하는 고정 IP
routes:
- to: default
via: 192.168.0.1 # 공유기 IP (게이트웨이)
nameservers:
addresses:
- 8.8.8.8
- 8.8.4.4
저장 후 적용:
# 설정 적용
sudo netplan apply
# IP 확인
ip addr show
🚨 자주 발생하는 설치 문제 해결법
문제 1: USB 부팅이 안 돼요
증상: USB 꽂고 재부팅해도 윈도우로 부팅됨
해결:
- ✅ BIOS에서 Boot Priority 확인 (USB가 1순위인지)
- ✅ Secure Boot 비활성화
- ✅ UEFI 대신 Legacy 모드 시도
- ✅ Rufus에서 MBR 방식으로 다시 만들기
문제 2: 네트워크가 인식 안 돼요
증상: Step 3에서 IP가 안 잡힘
해결:
- ✅ 유선 랜선 재연결
- ✅ 공유기 재부팅
- ✅ “Continue without network” 선택 후 설치 완료 후 설정
문제 3: 디스크 파티션 오류
증상: “Cannot create partition” 오류
해결:
- ✅ 기존 파티션 완전 삭제 후 재시도
- ✅ “Use entire disk” 옵션 선택
- ✅ 디스크 불량 확인 (다른 PC에서 테스트)
문제 4: 로그인 안 돼요
증상: 비밀번호 입력해도 “Login incorrect”
해결:
- ✅ username 확인 (대소문자 구분)
- ✅ 비밀번호 입력 시 화면에 안 보이는 게 정상
- ✅ Caps Lock 확인
- ✅ 재설치 (비밀번호 기억 못 하면 방법 없음)
문제 5: 설치 중 멈춤
증상: 설치 진행률이 오래 멈춰 있음
해결:
- ✅ 인터넷 연결 확인 (패키지 다운로드 중일 수 있음)
- ✅ 30분 이상 변화 없으면 재시작
- ✅ USB 재제작 (파일 손상 가능성)
📌 마무리 정리
이 글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하면:
- 우분투 서버는 가볍고 정보가 많아 비전문가에게 적합한 OS
- Ubuntu 22.04 LTS 추천 (2027년까지 지원)
- ISO 다운로드 → Rufus로 부팅 USB 만들기
- BIOS에서 USB 부팅 우선순위 설정
- 설치 과정은 대부분 기본값으로 진행해도 무방
- OpenSSH 설치 꼭 체크 – 이후 원격 접속을 위해 필요
- 설치 후 업데이트, 시간대, 방화벽, 고정 IP 설정
다음 글에서는 우분투 서버를 터미널로 다루는 기본적인 방법,
즉 ‘리눅스 명령어’ 실전 사용법을 이어서 다룰 예정이다.
이제 본격적으로 리눅스 서버를 다뤄볼 시간이다! 🧑💻
댓글 남기기